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 온라인 조회 방법
- 도시가스사 홈페이지
- 지역별 도시가스사(예: 서울도시가스, 예스코, 인천도시가스 등) 공식 홈페이지 접속
- [고객센터] → [요금조회] 메뉴 선택
- 고객번호(고지서에 기재) 또는 계량기 번호 입력 후 조회
- 모바일 앱 이용
- 각 도시가스사에서 제공하는 전용 앱 설치
- 회원가입 및 고객번호 등록 후 요금, 납부내역, 사용량 확인 가능
- 정부·공공 포털
- 정부24, 위택스 등에서는 직접 요금 조회는 불가능하지만 납부 고지서 확인이나 지방세 연계된 세금 납부 가능
✅ 오프라인 조회 방법
- 고지서 확인
- 매월 발송되는 종이 고지서 또는 이메일 청구서에 금액·사용량 확인 가능
- 고객센터 전화
- 각 지역 도시가스 고객센터로 전화하면 본인 확인 후 요금 안내받을 수 있음
- 은행·편의점
- 고지서를 지참하면 은행 창구나 편의점에서 납부 시 요금 확인 가능
🔗 지역별 도시가스사 홈페이지 모음
거주하시는 지역에 따라 관할 도시가스사가 다릅니다
👉 각 사이트에서 회원가입 후 고객번호 등록을 하면, 매월 요금조회·납부·사용량 조회가 가능합니다.
수도권
서울도시가스 | 예스코(서울.경기 북부) | 코원에너지서비스(서울.경기일부) |
경동도시가스(서울.경기동부) | 대륜E&S(서울.경기서북부) | 인천도시가스 |
경기.강원
삼천리(경기.인천일부.강원일부) | 강원도시가스 | 충청에너지서비스(세종.충남일부, 경기남부일부) |
충청권
충남도시가스 | 대전도시가스 | 충북도시가스 |
영남권
부산도시가스 | 대성에너지(대구) | 경남에너지 |
경북도시가스 | 영남에너지서비스(울산.경남일부) |
호남권
광주도시가스 | 전북에너지서비스 | 전남도시가스 |
✅ 참고 팁
- 자동이체 등록 시, 문자·앱 알림으로 매월 요금을 바로 확인할 수 있음
- "모바일 간편결제(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등)"를 연동하면 청구서 확인과 납부가 동시에 가능
🔎 도시가스 요금조회 FAQ
1. 고객번호를 어디서 확인하나요?
- 도시가스 요금 고지서(종이/전자) 상단에서 확인 가능
- 계량기 스티커 또는 고객센터 문의 시 확인 가능
2. 고객번호 없이도 요금 조회가 가능한가요?
- 일반적으로는 고객번호가 필요함
- 다만, 고객센터 전화나 계량기 번호를 통해 본인 확인 후 안내받을 수 있음
3. 지난달(또는 과거)의 요금도 조회할 수 있나요?
- 홈페이지나 앱에서 최근 12개월 요금까지 조회 가능
- 더 오래된 내역은 고객센터에서 별도 요청 필요
4. 스마트폰으로 조회 가능한가요?
- 가능함. 각 도시가스사 전용 앱을 설치하면 요금·사용량·납부내역을 확인할 수 있음
- 카카오톡 청구서, 네이버페이·카카오페이·토스와 연동도 가능
5. 요금을 잘못 납부했을 경우 어떻게 하나요?
- 자동이체나 계좌이체 오류 시 고객센터에서 환불 또는 정산 처리 가능
- 이중 납부 시 다음 달 요금에서 차감되거나 환불받을 수 있음
6. 요금을 조회했는데 예상보다 많이 나왔습니다. 어떻게 확인하나요?
- 동일 기간의 전년 대비 사용량 비교 가능
- 계량기 이상, 누수·가스 누출 여부 확인
- 이상 사용 의심 시 도시가스사 고객센터로 점검 요청 가능
7. 자동이체 등록 후에도 요금을 조회할 수 있나요?
- 가능함. 자동이체 여부와 관계없이 언제든 요금 및 사용량 조회 가능
8. 해외 체류 중에도 요금 조회·납부가 가능한가요?
- 가능합니다. 도시가스사 홈페이지나 모바일 앱을 통해 조회·납부 가능
- 인터넷뱅킹, 카드 자동이체 등록 시 해외에서도 자동 처리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