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실시간 고철 시세

     

    국내에서 고철 시세를 가장 정확하게 파악하려면 인근 고물상이나 제강사에 직접 문의하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다만 문의가 번거롭거나 가벼운 조회를 원하는 경우에는 온라인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대표 조회 플랫폼 및 사이트

     

    ✅ 다이렉트스크랩 (Direct Scrap)

    • 사이트 메인에서 고철·비철 구분 후, 품목별 가격을 kg 단위로 실시간 조회 가능.
    • 운반비·상하차비 제외된 단가라 실제 매입 단가와는 다를 수 있음
    • 고철 분류별로 생철A, 중량A, 경량A 등 품목을 세분화해 조회 가능 

     

    ✅ 스틸프라이스 (SteelPrice)

    • 주로 철강업계 뉴스·통계·원료 시세 제공 플랫폼으로, 무료 또는 유료로 상세 보고서 제공.
    • 제강사 기준의 중량A, 경량A 가격을 지역(경인/영남 등)별로 표 형태로 정리해서 볼 수 있음

     

    ✅ 지역업체(고물상) 웹사이트

    • 레트로산업, 선진철재 등 지역 업체들이 품목별 고철 매입단가를 웹에 공개하는 경우가 있어 참고할 수 있음.
    • 예: 선진철재는 생철 380원/kg, 중량A 340원/kg, 경량A 250원/kg 등
    • 하나산업 등은 생철 360원, 중량B 320원 등 지역 단가 정보 제공

     

     

    국제 시세로 전체 흐름 파악하기

     

     

    • LME(런던금속거래소) Steel Scrap 시세는 인도·대만향 CFR 기준으로 톤당 미국 달러로 제공.
    • 예: $300/ton일 경우 ‑‑ 환율(예: 1,120원)을 적용하면 kg당 약 336원으로 환산 가능
    • 국제 시세는 국내 거래 단가와는 차이가 크므로, 전체 흐름 참고용으로 활용해야 합니다
    • 또한, 한국비철금속협회LME Korea에서 일부 비철금속 실시간 시세 제공되지만, 고철 스크랩 가격 정보는 유료 처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비교 요약표

     

     

    항목 제공 내용 장점 유의할 점
    다이렉트스크랩 고철·비철별 실시간 kg 단위 시세 조회 빠른 조회, 품목 세분화 운반비 제외, 실제 매입 단가 아님
    스틸프라이스 제강사 기준 가격, 철강뉴스, 지역별 가격 변동 제강사 기준 가격 제시 일부 유료, 품목 세부항목 부족 가능
    지역 고물상 업체 사이트 개별 업체의 매입단가 공개 실제 거래 기준 단가 파악 업체마다 기준 상이, 지역 편차 큼
    LME 국제 시세 톤당 USD 국제 금속 원자재 시세 국제적 흐름 파악 가능 국내 가격과 일치 안 함, 운임 적용 필요

     

    고철 시세가 자주 바뀌는 이유

     

    • 국제 철강 시세 변동: 고철은 철강 원료이기 때문에 국제 원자재 가격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습니다.
    • 수요-공급의 균형: 건설, 조선, 자동차 산업의 경기에 따라 수요가 달라지고 시세도 변동됩니다.
    • 환율 영향: 원달러 환율이 고철 수출입 가격을 좌우합니다.
    • 지역 수거량 편차: 지역별 공급 과잉/부족에 따라 단가 차이가 발생합니다.

     

     

     

     

    실시간 고철 시세 확인하는 방법

     

    1. 한국철강협회 (KOSA)

    • 웹사이트: http://www.kosa.or.kr
    • 설명: 국내 철강 산업 전반을 아우르는 대표 기관. '고철 가격동향' 리포트 제공
    • 특징: 주간 고철 시황 PDF 파일, 국제 철스크랩 시세 동향 제공

     

    2. 철강정보원

    • 웹사이트: https://www.kjis.co.kr (회원가입 필요)
    • 설명: 철강 업계 전문 정보지
    • 특징: 고철은 물론 철근, H형강, 판재류 등 다양한 철강재 시세 제공

     

    3. 네이버 지도 or 카카오맵 → “고물상” 검색

    • 검색어: “고물상”, “고철 매입”
    • 활용 팁: 업체 전화번호를 확인 후 “오늘 고철 시세가 어떻게 되나요?” 라고 문의하면 실시간 단가 확인 가능

     

    4. 중고나라 / 번개장터 (비공식 시세 참고용)

     

    5. 업체별 자체 홈페이지 (예: 고물상, 비철금속상사 등)

     

    품목별 단가 차이와 현명한 분류법

     

     

    품목별 시세 차이를 알고 분류하면 수익을 크게 높일 수 있습니다.

    고철 품목 시세 (1kg 기준) 특징
    일반 철 (철판) 150~250원 기본 품목, 수요 높음
    스텐레스 900~1,200원 녹슬지 않아 고가
    알루미늄 1,000~1,300원 가볍고 선호도 높음
    동(구리) 7,000~9,000원 가장 고가 품목 중 하나
    전선 (피복동선) 3,000~5,000원 피복 제거 여부에 따라 가격 차이

     

     

     

    실전 거래 팁과 돈 버는 사례

     

    • 비 오는 날 피하기 - 젖은 고철은 무게가 올라가도 단가는 떨어집니다.
    • 한 번에 모아서 거래 - 소량보다 대량으로 거래 시 더 높은 단가 적용
    • 단가 비교 필수 - 최소 2~3군데 이상 고물상에 시세 문의

    💡 사례: 중고 가전 5대, 공사 현장 폐자재를 분류 후 스텐, 동, 철로 나눠서 판매 → 총 수익 약 31만 2천원

     

     

    거래 전 체크리스트

     

    • 오늘의 시세 확인 완료했나요?
    • 철/비철 분리 작업 끝냈나요?
    • 고철이 마른 상태인가요?
    • 고물상 최소 2곳 이상 비교했나요?
    • 거래 내역을 사진으로 기록할 준비 되셨나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