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주민세 8월 납부기간, 납부방법, 가산세

     

    2025년 8월은 정기분 주민세(개인분) 납부 기간입니다.
    주민세 개인분은 8월 16일부터 31일까지 납부해야 하며, 과세 대상은 매년 7월 1일 기준으로 해당 지역에 주소를 둔 세대주입니다.

    깜빡해서 기일 지나면 가산세를 내야하니, 알람해 두시고 납부하세요~

     

     

     

     

    1. 주민세 납부기간


    구분 납부기간 대상 비고
    개인분 주민세
    (개인 균등분)
    2025년 8월 16일 ~ 8월 31일 7월 1일 기준 해당 시·군·구에 주소 둔 세대주 금액은 보통 1만~1만2천 원
    사업소분 주민세 2025년 8월 1일 ~ 8월 31일 사업소 둔 개인사업자·법인 자본금·규모·종업원 수에 따라 차등
    종업원분 주민세 매월 10일 일정 급여 총액 이상 지급 사업주 전월분 급여 기준

     

    주민세 8월 납부기간, 납부방법, 가산세주민세 8월 납부기간, 납부방법, 가산세주민세 8월 납부기간, 납부방법, 가산세

     

     2. 고지서 확인 방법

     

    1. 우편 고지서
      • 8월 초 지자체에서 발송
    2. 전자고지
      • 위택스 / 정부24 / 카카오톡 지갑 / 네이버 인증서 등에서 확인 가능
    3. 모바일 간편 확인
      • 스마트위택스 앱
      • 지방세입계좌 알림 서비스 가입 시 문자로 안내

     

    3. 주민세 납부 방법 6가지

     

     

    • 위택스(Wetax) 납부
      • PC 또는 모바일 접속 → 로그인 → 납부하기에서 주민세 선택 → 계좌이체·카드·간편결제 가능
      • www.wetax.go.kr

     

    • 스마트위택스 앱 납부
      • 앱 설치 후 로그인 → 고지서 확인 및 납부
      • 카카오페이·네이버페이 등 간편결제 지원

     

    • 지로사이트 납부
      • www.giro.or.kr 접속 → 전자고지서로 납부
      • 회원가입 없이 고지서 번호로도 가능

     

    • 은행 창구 납부
      • 고지서 지참 후 은행 창구에서 현금·계좌이체 납부

     

    • 편의점 납부
      • 전국 지정 편의점(세븐일레븐·GS25·CU 등)에서 고지서 바코드로 결제

     

    • 지방세입계좌 이체 납부
      • 고지서에 기재된 ‘지방세입 전용 계좌’로 무수수료 송금
      • 은행 앱·ATM에서 바로 이체 가능

     

     

     

    4. 주민세 가산세

     

    • 납부 지연 시 : 미납 세액의 3% 가산세 부과
    • 전자신고·납부 불이행 시 : 신고불성실 가산세: 미납 세액의 20% 이내
    • 연체 이자: 하루 단위로 가산 (최대 연 9%)

    💡 특히 8월 말 마감일을 넘기면 다음 해 자동차세·재산세 합산 체납으로 불이익이 커집니다.

     

    5. 납부 방법 총정리

     

    방법 특징
    위택스 납부 PC·모바일로 24시간 가능, 즉시 납부 확인
    스마트위택스 앱 앱 실행 후 납부 가능, 간편결제 지원
    지로사이트 (giro.or.kr) 고지서 전자 납부 가능
    은행 방문 고지서 지참 후 창구 납부
    편의점 납부 고지서 바코드로 결제 가능
    지방세입계좌 이체 고지서에 기재된 전용 계좌로 이체 (무수수료)
     

     

    📌 TIP

    • 전자고지 신청 시 1,000원~3,000원 지방세 할인 혜택을 주는 지자체도 있습니다.
    • 마감일(8월 31일)은 접속자 폭주로 결제 오류가 잦으니, 미리 납부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주민세 8월 납부기간, 납부방법, 가산세 주민세 8월 납부기간, 납부방법, 가산세 주민세 8월 납부기간, 납부방법, 가산세

     

     

    6. 주민세 자주 묻는 질문(FAQ)

     

    Q1. 고지서를 못 받았는데 어떻게 납부하나요?
    → 위택스(www.wetax.go.kr) 또는 스마트위택스 앱에서 주민등록번호(또는 사업자등록번호)로 조회 후 납부할 수 있습니다. 은행·편의점 납부 시에도 고지서 없이 전자납부번호로 가능합니다.

     

    Q2. 이사했는데 어디 지자체에 내야 하나요?
    → 주민세 개인분은 매년 7월 1일 기준 주소지 지자체에서 부과됩니다. 이사 날짜가 7월 2일 이후라면 이전 주소지에 납부해야 합니다.

     

     

    Q3. 기한을 놓치면 어떻게 되나요?
    → 미납 시 3% 가산세가 붙고, 체납이 계속되면 재산압류·급여압류 등 강제징수 절차가 진행됩니다.

     

    Q4. 가산세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 기한 후 30일 이내 자진납부하면 추가 가산세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전자고지·자동이체 등록으로 연체를 예방하는 것이 가장 확실합니다.

     

    Q5. 분할 납부가 가능한가요?
    → 주민세는 원칙적으로 일시납입니다. 다만 체납 전에 지자체 세무과와 협의하면 분할납부를 허용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Q6. 전자고지 신청하면 혜택이 있나요?
    → 일부 지자체는 전자고지 신청 시 1,000~3,000원 세액을 할인해줍니다(조례마다 다름).

     

    Q7. 납부 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
    → 위택스, 스마트위택스 앱, 지로사이트, 은행 창구, 편의점, 지방세입계좌 이체 등 6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반응형